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059

폭력이 동원된 노조 간 갈등은 건설현장 곳곳에서 수년째 반복하고 있다.
노조 간 갈등이 있다는 것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목소리도 있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관계자는 “민주노총 조합원들은 임금이나 노동시간을 비롯한 노동조건이 좋다 보니 건설사 입장에선 고용을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며 “그러다 보니 건설사에서 우리 조합원을 채용하기로 해 놓고는 막상 일이 시작되면 ‘어용노조’ 조합원들을 채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 문제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민주노총 조합원에 대한 고용차별이 노노갈등으로 비춰지는 것이 마뜩지 않다”며 “어용노조에 노동자가 어디 있나”라고 반문했다.
한국노총 건설산업노조도 항변한다. 건설산업노조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건설노조가 ‘우리 조합원을 채용해 달라’라고 회사에 요구했다면, 아주 최근에는 ‘건설산업노조 조합원은 채용하지 말아 달라’는 식으로 요구하고 있다”며 “건설노조의 조합원수가 더 많아 우월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 보니 강자로서 약자 죽이기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건설현장의 갈등과 충돌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차적으로는 노조 간 견제가 원인이다. 우상범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은 “과거 민주노총에서 건설 분야 노조가 먼저 만들어졌는데, 이후 한국노총에서도 건설 노조가 생기면서 규모를 키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그런 이해관계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분석했다. 우 연구위원이 지난해 1월 한국노동연구원의 <월간 노동리뷰>에 게재한 ‘건설업 노사관계 평가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는 2019년 기준 200만명이다. 노조 조직률은 약 7% 정도다. 민주노총 소속 조합원은 12만명으로 한국노총 소속 조합원 2만명보다 10만명가량 많다.
보다 근본적으로 보면 갈등 기저에는 ‘건설 일자리 부족’이 주요하게 자리 잡고 있다. 건설업 취업자는 상???수가 고용 안정성이 떨어지는 일용직·비정규직이다. 그런데 일자리는 한정돼 있다. 각 노조는 자기 조합원을 더 배치하기 경쟁하고 그 과정에서 충돌이 일어나는 것이다. 회사가 한쪽 노조 조합원과 근로계약을 체결하면 경쟁 노조가 이의를 제기하고, 자기 조합원 채용을 주장하는 과정에서 부딪힌다.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
관련기사들
"우리 노조원 고용하라"…양대노총, 공사현장 타워크레인 농성 (3. 26.? 경기 과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2291584
양대 노총, 인천 공사장서 집단 몸싸움…경찰 수사착수 (1. 30. 인천 청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37&aid=0000258163
"타 노조 배정 안된다" 용인 오피스텔 건설현장서 노조간 대립 (9. 28. 경기 용인 타워크레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1910679